Terms
symptomatic congenital cytomegalovirus (CMV) disease - 시토메갈로 바이러스 (거대 세포)
- 정상인에게는 별 문제가 되지 않으나 신생아에게는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바이러스
호중구감소증(neutropenia) - 본 연구에서는 안정성 지표로 사용되었습니다. 호중구감소증은 혈액 내 호중구(백혈구의 일종) 수가 정상보다 낮은 상태를 말합니다. 이 연구에서는 특히 3등급 또는 4등급의 심각한 호중구감소증에 주목했습니다.
- 연구에서 경구 valganciclovir 사용 시 초기 6주간의 호중구감소증 발생률(19%)은 이전 연구에서 정맥 Ganciclovir 사용 시 보고된 발생률(63%)보다 낮았습니다.
- 연구자들은 약물로 인한 호중구감소증이 주로 치료 첫 6주 동안 우려되며, 경구 valganciclovir 사용 시 이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해석했습니다.
- Ganciclovir : Ganciclovir는 항바이러스 약물로, 주로 거대세포바이러스(CMV) 감염 치료에 사용됩니다.
- 이전 연구에서 6주간의 정맥 Ganciclovir 치료가 선천성 CMV 감염 신생아의 청력 결과를 개선시켰습니다.
- Valganciclovir는 Ganciclovir의 전구약물(prodrug)입니다.
- 경구 투여 후 체내에서 Ganciclovir로 전환되어 작용합니다.
- 이 연구는 경구용 Valganciclovir의 6개월 치료가 선천성 CMV 감염 치료에 효과적이고 안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.
- 이는 정맥 Ganciclovir 치료의 대안으로 장기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.
Background
선천성 CMV 감염은 비유전적 감각신경성 난청의 주요 원인이며, 정신지체의 가장 흔한 바이러스 원인입니다.
이전 연구에서 6주간의 정맥 내 ganciclovir 치료가 6개월 시점의 청력을 개선시켰지만, 그 효과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. 이 연구의 목적은 경구용 valganciclovir 를 6개월간 투여하는 것이 6주 투여에 비해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오는지 평가하는 것.
Methods
대상 : 증상이 있는 선청성 CMV 감염 신생아 96명
실험 방법 : 무작위, 위약 대조 임상 시험
증상이 있는 선천성 CMV 질환이 있는 신생아를 대상으로 valganciclovir 치료에 대해서 무작위, 위약 대조 실험(placebo-controlled trial of valganciclovir therapy) 을 실시하여 6개월의 치료와 6주간의 치료를 비교했습니다.
치료 : 모든 참여자가 6주간 valganciclovir를 투여받은 후, 무작위로 추가 4.5개월간 valganciclovir 또는 위약을 투여 받습니다.
1차 평가지표 : 기저시점부터 6개월까지의 더 나은 청력 변화
2차 평가지표 : 12개월 및 24개월 시점의 청력 변화, 신경발달 결과 등
Results
figure1. 임상 시험의 참가자 흐름도(flow chart)
등록된 환자 중 96명이 맹검 단계에 진입하여 무작위 배정을 받았습니다. 47명이 6개월 valganciclovir 치료군에, 49명이 6주 치료 후 위약군에 배정되었습니다.
6개월 시점에는 각 그룹에서 43명씩 청력 평가 결과가 있었습니다. 12개월 시점에는 6개월 치료군에서 41명, 6주 치료군에서 40명의 청력 평가 결과가 있었고, Bayley-III 평가는 각각 43명과 45명이 받았습니다.
24개월 시점에는 6개월 치료군에서 37명, 6주 치료군에서 31명의 청력 평가 결과가 있었고, Bayley-III 평가는 각각 42명과 41명이 받았습니다. 각 평가 시점마다 다양한 이유로 일부 참가자들의 평가가 불가능했으며, 이에 대한 상세한 정보도 제공되어 있습니다.
Bayley-III 평가는 영유아의 발달을 평가하는 도구. 정식 명칭은 "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, Third Edition"입니다. 이 평가는 생후 1개월부터 42개월까지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합니다. 이 연구에서 Bayley-III 평가는 선천성 CMV 감염 치료가 영유아의 전반적인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. 특히 12개월과 24개월 시점에서 언어 발달, 인지 발달, 운동 발달 등의 영역에서 치료 효과를 측정하는 중요한 도구로 활용되었습니다.
평가 영역:
- 인지 발달(Cognitive Scale)
- 언어 발달(Language Scale): 수용 언어와 표현 언어로 구분
- 운동 발달(Motor Scale): 대근육 운동과 소근육 운동으로 구분
- 사회-정서 발달(Social-Emotional Scale)
- 적응 행동(Adaptive Behavior Scale)
6개월 시점의 청력 개선은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니다.
- 12개월 및 24개월 시점의 청력 결과는 6개월 치료군에서 유의하게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냄 :
12개월 : 6개월 치료군 73% vs 6주 치료군 57% (p=0.01)
24개월 : 6개월 치료군 77% vs 6주 치료군 64% (p=0.04)
- 신경발달 결과 :
24개월 시점에 6개월 치료군은 Bayley-III 평가의 언어종합 점수와 수용적 의사 소통 척도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습니다.
- 안정성 :
치료 첫 6주 동안 3-4 등급 호중구감소증 발생률은 19%
이후 4.5개월 동안 3-4 등급 호중구감소증 발생률은 6개월 치료군 21% , 6주 치료군 27%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니다.
Table 1은 연구 참가자들의 기저 특성을 보여줍니다. 6개월 치료군(47명)과 6주 치료군(49명)의 특성을 비교하고 있습니다.
재태 연령은 두 그룹 간 유사했으며, 32-37주가 각각 51%와 45%, 37주 이상이 49%와 55%였습니다. 등록 시 연령 분포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습니다(p=0.08).
CMV 질병의 양상은 두 그룹에서 비슷했으며, 혈소판 감소증, 점상 출혈, 간비대, 비장비대, 자궁 내 성장 지연, 간염 등이 포함되었습니다. 중추신경계 침범은 6개월 치료군에서 72%, 6주 치료군에서 59%로 나타났습니다(p=0.20). 소두증, 맥락망막염, 비정상적 신경영상 결과의 비율도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니다.
기저 시점의 최고 청력 상태는 두 그룹 간 약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습니다(p=0.17). 전반적으로 Table 1은 두 치료군 간의 기저 특성이 대체로 균형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주며, 이는 무작위 배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시사합니다.
Discussion
증상이 있는 선천성 CMV 감염 신생아에서 6개월간의 valganciclovir 치료가 장기적인 청력 및 신경발달 결과를 개선시킬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.
특히 중추신경계 침범(CMV disease involving Central nervous system)이 있는 환자들에게서 더 큰 개선이 관찰되었습니다.
6개월 치료는 호중구감소증 위험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았으며 장기간 정맥 주사로 인한 불편함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.
Limitations
- 이 연구는 무증상 선천성 CMV 감염 영아에게는 적용되지 않았습니다.
- CMV 관련 감각신경성 난청은 시간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, 치료 효과를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전향적, 대조군 설계가 중요합니다.
Conclusion
증상이 있는 CMV 감염 영아에서 6개월간의 경구 valganciclovir 치료가 장기적인 청력 및 신경발달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, 안전성 측면에서도 수용 가능한 수준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.